2024년 이그노벨상 수상자는?
2024년 이그노벨상은 다시 한 번 전 세계의 엉뚱하고 독창적인 과학 연구들을 조명했습니다. 이 상은 처음엔 웃음을 주지만, 그 속에 숨어있는 놀라운 통찰력을 깨닫게 만듭니다. 이번에 수상한 연구들은 평범해 보이는 일상 속에서도 과학적 호기심이 어떻게 발현될 수 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평화상: B.F. 스키너의 비둘기 미사일
비둘기가 미사일을 조종할 수 있다고요? 믿기 힘들겠지만, 행동심리학자 B.F. 스키너는 실제로 이 아이디어를 진지하게 연구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사 기술이 점점 발전하던 시기였습니다. 스키너는 군사용 무기에 비둘기를 이용해보자는 기발한 생각을 냈죠. 비둘기를 훈련시켜 미사일의 내부에서 화면을 보고 목표를 조준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비둘기가 화면에 나타나는 목표물을 쪼아주면, 미사일은 그 방향으로 날아가도록 설계되었죠. 당시에는 이 연구가 실제로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과학적 상상력이 얼마나 경계를 넘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례로 남아있습니다.
식물학상: 플라스틱 식물을 모방하는 진짜 식물
식물이 플라스틱 식물의 모습을 따라 할 수 있다는 사실, 믿기 어렵죠? 제이콥 화이트와 펠리페 야마시타는 자연과 인공물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실제 식물들이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공 식물의 형태를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겁니다. 자연이 인공물에 적응해가는 방식은 우리에게 놀라움을 주고, 우리가 만든 인공물들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줍니다.
생리학상: 항문으로 호흡하는 포유류
정말로 포유류가 항문으로 호흡할 수 있을까요? 이 연구는 그 놀라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미국과 일본의 연구팀은 비상 상황에서 많은 포유류가 항문을 통해 산소를 흡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다소 충격적이지만, 이 연구는 생물체가 생존을 위해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하는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발견은 의료나 동물학 연구에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을 정도로 기발한 시각을 제시합니다.
물리학상: 죽은 송어의 수영 능력
죽은 송어가 수영을 할 수 있을까요? 얼핏 들으면 황당하게 들릴 수 있지만, 제임스 C. 리아오는 송어가 죽은 후에도 물의 흐름에 의해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죽은 생물이 물속에서 움직인다는 사실은 수중 생태계에서 물리학적 법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다시 생각해보게 합니다. 이는 특히 강이나 바다에서 물의 흐름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의학상: 부작용 있는 가짜 약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가짜 약, 즉 플라시보가 어떻게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이번 연구는 한 발 더 나아갔습니다. 리벤 A. 쉥크, 타흐미네 파다이, 크리스티안 뷔헬은 부작용이 있는 플라시보가 부작용이 없는 플라시보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이는 사람의 심리가 약의 효능에 얼마나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의사들이 환자에게 가짜 약을 처방할 때도 부작용에 대한 정보가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죠.
확률상: 동전 던지기의 비밀
프란티셰크 바르토시와 그의 연구팀은 동전 던지기에 숨겨진 진실을 찾아냈습니다. 무려 350,757번의 동전 던지기를 통해, 동전이 던지기 전의 상태와 동일한 면이 나올 확률이 아주 조금 더 높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동전 던지기 같은 단순한 행위에도 미세한 확률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줍니다. 이 연구는 우리 일상 속에서 흔히 접하는 것들에도 얼마나 복잡한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화학상: 술에 취한 벌레와 술에 취하지 않은 벌레의 구분
화학상은 술에 취한 벌레와 술에 취하지 않은 벌레를 분리하는 연구로 수여되었습니다. 연구자들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벌레들이 술에 취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를 통해 벌레들이 술에 얼마나 민감한지, 그리고 생물체가 외부 물질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이 연구는 미생물학이나 화학 연구에 있어 생물체의 반응성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2024년 이그노벨상은 웃음을 자아내면서도 동시에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흥미로운 연구들로 가득했습니다. 과학이란 진지한 탐구만이 아니라, 때로는 엉뚱한 아이디어에서 가장 창의적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다시금 깨닫게 합니다.
'IT·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용 걱정 끝! AI 학습을 100배 빠르게 만드는 기술 등장 (0) | 2024.09.19 |
---|---|
크래프톤, 삼성전자와 손잡고 '다크앤다커 모바일' 최적화 - 게임스컴 2024에서 기술 워크샵 개최 (0) | 2024.08.22 |
네이버, AI 기술 진화 가속화... 하이퍼클로바X, 멀티모달 AI로 도약 (0) | 2024.08.22 |
엔비디아의 AI 기상예측 시스템 '스톰캐스트', 기후 변화 대응의 새로운 희망 (0) | 2024.08.22 |
댓글